* DDL ( Data Definition Language ) :
- 테이블을 생성하고 스키마( 구조 )를 정의하는 작업.
- 테이블, 인덱스, 뷰, 스키마 등을 정의 ( 생성, 수정, 삭제 ) 하는 SQL 명령어문들을 통틀어 이르는 말.
간단하게 취준하면서 게시판 API 들을 만들어 보고 있는데, 정리할겸 DDL 작성 과정을 정리하려고 한다.
1) db 보기
show databases;
- 현재 사용중인 MySQL 서버에 존재하는 모든 DB 목록을 확인하는 명령어.
- 사용자의 권한에 따라서 보여지는 DB가 다를수 있다.
- 굳이 table 생성에 필수 명령어는 아님.
2) db 사용
use boardDB;
- 현재 사용 중인 DB를 boradDB로 설정해주어, 이후에 실행되는 쿼리 ( CREATE TABLE, SELECT 등 ) 해당 데이터 베이스를 기준으로 동작하도록 만드는 명령어이다.
3) table 생성
CREATE TABLE board(
id bigint NOT NULL AUTO_INCREMENT,
title VARCHAR(100) NOT NULL,
content VARCHAR(1000) NOT NULL,
create_date timestamp default now(),
PRIMARY KEY ( id )
);
- 게시글 번호를 나타내는 id는 AUTO_INCREMENT 를 사용해서, 중복해서 요청이 들어오면 +1 씩 저장된다.
- 게시판을 생각하면 제일먼저 제목, 내용 위 두가지가 생각나기 때문에 title, content 기본적으로 추가했다.
- 추가적으로 게시글 생성 날짜, 시간도 추가했다.
위 3가지를 한번에 InteliJ IDE 에 Queary Console 창에 입력해 주면 된다.
show databases;
use boardDB;
CREATE TABLE board(
id bigint NOT NULL AUTO_INCREMENT,
title VARCHAR(100) NOT NULL,
content VARCHAR(1000) NOT NULL,
create_date timestamp default now(),
PRIMARY KEY ( id )
);
'Project > SpringBoo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ava의 동시성 문제를 해결가능한 3가지 방법 (0) | 2025.02.12 |
---|---|
NginX를 적용한 로드밸런싱 적용 및 웹 소켓 로드 밸런싱 (0) | 2025.01.31 |
AWS 프로젝트 배포과정 (0) | 2025.01.31 |
깃허브 액션에 대해서 (0) | 2025.01.30 |
인게임 유저 관리 ( 중복 계정, equals()와 hashcode() 오버라이드 ) (0) | 2025.01.05 |